top of page
검색

10만 원→25만 원


[1] 정부가 청약통장 이율은 0.3%p 

[2] 월 납입 인정액은 25만 원으로 올립니다.

[3] 가입자 이탈을 막을 수 있을지 관심이 모입니다.


10만 원→25만 원

11월부터 청약통장 월 납입 인정액을 25만 원으로 올립니다. 한편 그 돈을 넣을 유인이 부족하다는 의견도 나옵니다. 오늘 부딩은 ‘청약통장 월 납입액 상향: 10만 원→25만 원’에 대해 다룹니다.




10만 원→25만 원

정부가 청약통장 기능을 업그레이드합니다. △9월 23일 납입액부터 청약통장의 이율을 0.3%p 올려 연 2.3~3.1%(현재 연 2.0~2.8%)를 적용하고 △11월 1일부턴 월 납입 인정액을 25만 원(현재 10만 원)으로 상향합니다(출처: 국토교통부). 지난 1년간 약 36만 명이 청약통장을 깨는 등 청약가점이 낮은 이들 사이에서 “통장이 쓸모없다”는 말이 퍼지고 있어섭니다.

  • check! 특히 청년주택드림청약통장은 가입 기간이 ‘1년 이상~2년 미만’이면 연 4.2%의 이율이 적용됩니다.




25만 원을 넣어 좋은 점?

공공분양¹⁾ 청약에 유리합니다. 공공분양은 저축 총액이 많은 순으로 당첨자를 가리기 때문입니다. 공공분양 당첨 기준은 지역마다 다르지만 평균 1500만 원이며, 11월부터 매달 25만 원씩 저축하면 5년 안에 1500만 원을 모을 수 있습니다. 참고로 공공분양, 국민주택 중 노부모부양 특별공급과 일반공급은 저축 총액이 당첨에 영향을 미칩니다.

¹⁾ 공공분양: LH 등 공공기관이 분양하는 전용면적 85㎡(약 33평) 이하의 주택을 말합니다.





청약 넣을 집이 부족한데요!

벌써 불만의 목소리도 나옵니다. ① 공공분양 중 일반공급 물량은 전체의 15%에 불과하고 ② 올 하반기 3기 신도시 외 수도권에서 나오는 공공분양 물량은 총 1622가구로, 청약 시장에서 공공분양의 비중 자체가 너무 작다는 게 이유입니다. 이에 시장에선 △이미 청약통장에 1000만 원 이상 저축한 이는 월 납입액을 25만 원으로 올리는 게 좋고 △그렇지 않다면 일정 금액을 꾸준히 저축하는 게 더 낫다고 말합니다.



서울 상승폭 2주째 둔화

수도권 아파트값 상승세가 잠잠해지고 있습니다. 서울 아파트 거래량은 △7월 9600건 △8월 7900건으로 감소, 매매가 상승폭도 △9월 9일 0.23% △9월 16일 0.16% △9월 26일 0.12%로 둔화하고 있습니다(출처: 한국부동산원). 은행 대출 규제의 영향이 크다는 분석입니다.




소득은 높고, 삶의 질은 낮고

수도권에 사는 청년은 비수도권 거주 청년보다 연 소득이 35% 더 많다는 분석이 나왔습니다(출처: 통계청). 단, 1인당 주거 면적은 32.4㎡(약 9.8평)로 36.2㎡(약 10.9평)인 비수도권 거주 청년보다 약 1.1평 좁았습니다. 더욱이 삶의 행복감은 더 낮았고, 번아웃 경험은 많았습니다.




분양가 6000만 원 인상

3기 신도시¹⁾ 첫 분양 단지인 인천 계양 A3블록(전용면적 55㎡, 5층 이상)의 확정 분양가가 사전 청약 당시보다 6000만 원 넘게 오른 4억101만 원으로 책정됐습니다(출처: 국토교통부). 앞으로 다른 3기 신도시 분양가도 오를 가능성이 커 분양가상한제²⁾의 의미가 무색할 지경이라는 목소리가 나옵니다.

¹⁾ 3기 신도시: 인천시 계양, 남양주시 왕숙, 하남시 교산 등에 아파트 30여만 가구를 짓는 정부의 대표적 주택공급 정책입니다. 첫 입주 시기는 당초보다 지연된 2026년입니다.

²⁾ 분양가상한제: 정부가 건설사에 ‘이 가격 이상으론 집 못 팔아!’라고 강제하는 정책입니다. 2024년 9월 현재 서울 강남 3구와 용산구, 3기 신도시 같은 공공택지 등에서 분양하는 아파트에 이를 적용합니다.




모집인 통한 대출 금지

시중은행이 대출 모집인¹⁾을 통한 대출을 막고 있습니다. 가계부채 관리를 위해섭니다. 영업점에서 대출은 가능하지만 고객의 불편은 커질 수밖에 없습니다. 특히 주택담보대출²⁾에서 모집인 대출 비중이 절반을 차지한 만큼 앞으로 대출 증가 폭은 크게 줄어들 가능성이 큽니다.

¹⁾ 대출 모집인: 대출 신청 상담과 신청서 접수, 전달 등 은행이 위탁한 업무를 수행하는 대출 상담사를 말합니다. 이들은 주로 대출 실적에 따라 수수료나 수당을 받습니다.

²⁾ 주택담보대출: 집을 담보로 은행에서 돈을 빌리는 걸 말합니다. 구매할 집을 담보로 빌리는 경우, 이미 구매한 집을 담보로 빌리는 경우 등 크게 두 가지 케이스가 있습니다.




빌라 거래액 27.9% 증가

서울 빌라 시장이 살아나고 있습니다. 7월에만 매매 2550건, 거래액 1조311억 원을 기록했는데, 6월보다 각각 13.7%, 27.9% 증가한 수치입니다(출처: 부동산플래닛). 특히 1조 원대 거래액은 25개월 만입니다. 서울 아파트값이 너무 올라 상대적으로 저렴한 빌라 시장에 수요가 몰렸다는 평입니다.

<수도권>

△서울 아파트값 27주째 상승

△서울 아파트 전셋값 71주째 상승

△서울 여의도 금융가 ‘350m 초고층 개발’ 지구단위계획 통과


△서울 ‘사업성 낮은’ 재건축·재개발 본격 지원 추진

△서울 8월 원룸 월세 평균 71만 원

△서울 ‘위례신사선’ 사업자 공모 잇따른 유찰



△SH 고덕강일지구 등 국민임대주택 1320가구 입주자 모집(10월 7일~11일)

△강남 '압구정5구역' 70층으로 재건축 추진

△강남 주거·금융 등 청년정책 담은 ‘강남청년누리’ 웹 개설



△노원 하계5단지·상계마들단지 1700가구로 재건축 추진

△서초 양재역 일대 역세권활성화사업 대상지 선정

△경기 청년 특화형 사회주택 470호 공급 계획



△광주 오포1동 인구 3만 명 돌파 눈앞

△안산 여행객 유치 위해 대부도 건폐율 상향

△안양 평촌신도시 재건축 공공기여율 15%→10%로 조정



△파주 미군 반환 ‘캠프 스탠턴’ 산업단지 조성 추진

△인천 국내 최대 무인도 ‘선미도’에 관광단지 조성 추진

△수도권 1000가구 이상 대단지 1만6000여 가구 분양




<지방>

△부산 아파트값 2년여 하락세 속 ‘수영구’만 10주째 상승

△부산 최근 5년간 부동산 거래 질서 교란 행위 690건

△부산 엄궁대교 2025년 3월 착공 목표



△울산 원도심 중구 지역 쇠락 심화

△대구 10월 2771가구 입주

△광주 7월 미분양 1370가구로 1년 만에 96.3% 증가



△대전 올해 청약자 91% ‘도안신도시’에 집중

△청주 주민 반발 거센 ‘네오테크밸리’ 조성 강행

△경북 ‘동해선(포항~삼척)’ 등 5개 노선 연말 개통




<해외>

△미국 경기침체 우려로 8월 ‘세컨드 홈’ 주담대 신청 8년 5개월 만에 최저치

△미국 11월 대통령선거 앞두고 경제적 불확실성에 주택시장 소강 상태

△미국 2분기 신축 임대주택 평균 임대료 1745달러(약 230만 원)로 전년 대비 6.2% 하락



△중국 부동산 등 경기부양 위해 대형 국영 은행에 1조 위안(약 189조 원) 투입 검토

△중국 상하이·선전 경기부양 위해 ‘주택 구매 제한’ 해제 검토

△영국 대형 투자사, 가격 급락한 미국 상업용 부동산 매입 검토



△영국 낮은 주담대 금리에 집값 6개월째 상승

△일본 8월 수도권 신축 맨션 거래 728건으로 전년 대비 50% 감소

△타이완 65세 이상 노인 거주 주택 69만5000채로 역대 최대치









공유지

여러 사람이 지분을 나눠 소유하는 땅을 말합니다. 공유자들은 각자의 지분만큼 권리를 가지며, 땅을 쓰거나 처분할 때 모두의 동의가 필요합니다. 이러한 경우는 주로 상속을 통해 발생합니다. 부모나 조상이 남긴 땅을 자녀들이 공동 상속받으면, 그 땅은 공유지로 전환됩니다.



명도소송

임차인이 계약이 종료된 후에도 집을 비우지 않으면, 법적 절차를 통해 강제로 퇴거시키는 소송입니다. 이 소송은 집주인이 임차인을 상대로 제기하며, 일반적으로 소송엔 수개월에서 1년 정도 소요됩니다. 소송 비용은 임대인이 먼저 부담하지만, 판결 후 임차인에게 이를 청구할 수 있습니다.


도시와 하늘

붉은색이 남색으로 바뀌기 얼마 전의 시간.

사진 제공. @youngsunnn41



조회수 148회

최근 게시물

전체 보기

Comments


Commenting has been turned off.
bottom of page